불과 반년 전만 해도 제가 직접 음악을 만들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기존 음악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했지만, 이제는 저만의 음악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몇번에 AI 영상 제작 과정에서 영상에 어울리는 음악을 제작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면서 음악 제작에 대한 자신감이 점차 커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AI Suno를 활용해 음악을 기획하고, 작사하고, 작곡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Contents
AI Suno 음악 기획부터 작사·작곡까지
Suno Wiki : sunoaiwiki 링크
음악 기획
음악 제작의 첫 단계는 노래의 주제와 사용 목적을 명확히 정하는 것입니다. 주제는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감정을 결정하고, 용도에 따라 배경음악, 광고, 개인 창작물 등 기획 방향을 조율합니다. 또한, 청중의 취향과 주제에 어울리는 장르(팝, 클래식, 재즈 등)를 선택해 제작의 방향성을 구체화합니다. 이 단계는 제작 과정의 기준이 되므로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제: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감정을 결정합니다.
- 용도: 배경음악, 광고, 개인 창작물 등 목적에 따라 기획 방향을 조율합니다.
- 장르: 청중의 취향과 주제에 가장 적합한 음악 스타일(팝, 클래식, 재즈 등)을 선택합니다.
Tip: 이 단계는 제작 과정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ip: 노래를 기획할 때는 1절과 2절의 내용을 명확히 구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노래가 영상과 함께 사용될지, 독립적인 음악으로 제작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영상과 함께 사용할 경우, 노래 가사와 음악의 분위기가 영상 스토리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원고와 영상 시나리오를 함께 준비해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래는 독립적인 음악 제작 시 고려할 사항입니다.
- 1절의 역할:
- 상황을 전달하고 기본적인 스토리라인을 설정합니다.
- 청취자에게 노래의 배경과 맥락을 소개하며, 감정의 시작점을 제시합니다.
- 2절의 특징:
- 1절보다 더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합니다.
- 감정의 깊이를 더하거나 스토리를 전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새로운 관점이나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작사 방법 (가사 작성)
Suno의 노래 가사는 챗GPT와 클로드를 활용해 작성합니다. 기획한 내용을 바탕으로 노래 가사를 작성한 후, 원고를 수정하듯 반복적으로 다듬어 최종적으로 완성합니다. 기획 단계에서는 인트로, 1절, 후렴구 등 곡의 구조에 맞춰 음악의 분위기를 고려해 가사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강조하고 싶은 문구나 합창 형태의 후렴구를 활용해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핵심 메시지와 감정 일치:
가사는 노래의 핵심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입니다.- 예를 들어, “꿈과 희망”이라는 주제라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표현을 사용하세요.
- 구조화된 가사 작성:
- 구체적인 상황이나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가사를 구상합니다.
- 가사의 구성을 도입(Verse), 반복구(Chorus), 클라이맥스(Bridge)로 나누어 흥미로운 흐름을 만듭니다.
Tip: 짧고 기억에 남는 구절을 만들어 반복성을 활용하면 청중에게 더 큰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작곡 방법 (메타태그 및 스타일 선택)
저도 전문 음악가는 아니지만, 제공된 가사에 맞춰 리듬감과 분위기에 어울리도록 작업이 어렵지 않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메타태그입니다. 메타태그는 제공된 가사의 특징을 세분화하고, 원하는 스타일을 명확히 설정하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이때 노래 가사 부분 ‘Lyrics’와 노래 스타일 부분 ‘Style of Music’에 각각 메타태그 사용이 가능합니다.
노래 가사에 사용하는 메타태그
- 대괄호 [ ] 대괄호는 주로 노래의 구조나 특수 효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노래 구조 표시: [Intro], [Verse 1], [Chorus] 등
- 사운드 효과: [웃음], [Whisper: “텍스트”], [검열된 비프]
- 소괄호 ( ) 소괄호는 주로 배경 보컬이나 에코 효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 메아리 효과: “사랑할거야 (할거야)”
- 배경 보컬: “(Yeah, yeah)”
노래 스타일 설정 방법
- 작성한 가사의 주제와 감정에 맞는 음악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사랑의 감정을 강조하려면 서정적인 발라드 스타일을, 축제 분위기를 연출하려면 활기찬 EDM 스타일을 선택하세요.
- 장르 지정: [트로트], [발라드], [힙합] 등
- 감정 및 분위기: [슬픈], [신나는], [로맨틱한] 등
- 시대 스타일: [90년대 가요 스타일], [80년대 디스코 느낌] 등
- 악기 조합: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 [전자 음악] 등
- 보컬 스타일: [파워풀한 여성 보컬], [감성적인 남성 보컬] 등
Tip: 메타태그와 스타일 설정은 곡의 방향성을 세부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핵심 도구이므로 제작 의도를 명확히 반영하도록 꼼꼼히 설정해야 합니다.
음악 기획, 작사, 작곡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각 단계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Suno AI의 분석 및 추천 기능을 적극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고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하세요. AI Suno는 초보자도 전문 음악 제작자처럼 쉽게 작사와 작곡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해당 영상에 배경음악을 AI Suno 로 작업 했습니다
Suno AI의 고급 음악 생성 기능
- Extend (확장 기능): 기존에 생성된 음악 클립을 더 긴 버전으로 확장, 현재 멜로디와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새로운 섹션 추가, 주로 verse나 chorus를 추가할 때 사용.
- Get Whole Song (전체 곡 생성): 짧은 클립을 완전한 형태의 노래로 확장, 인트로, 벌스, 코러스, 브릿지, 아웃트로 등 전체 곡 구조 자동 생성, 기존 클립의 스타일과 분위기를 유지하며 전체 구성 완성.
- Reuse Prompt (프롬프트 재사용): 이전에 성공적으로 사용한 프롬프트 설정을 저장하고 재사용, 비슷한 스타일의 여러 곡을 만들 때 유용, 프롬프트의 세부 설정을 미세 조정하며 실험 가능.
- Cover Song (Beta): 기존 곡의 새로운 버전 제작, 원곡의 핵심 요소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스타일로 재해석,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로 변환 가능.
- Make Persona (Beta): 특정 아티스트나 캐릭터의 음악 스타일을 모방, 보컬 톤, 악기 구성, 작곡 스타일 등을 특정 페르소나에 맞게 조정, 독특한 음악적 정체성 창조 가능.
- Get Stems: 생성된 음악을 각각의 악기 트랙으로 분리, 보컬, 드럼, 베이스, 기타 등 개별 악기 파트 추출, 믹싱이나 리믹스 작업에 활용 가능.
- Remaster (v4): 음질 개선 및 음향 최적화, 볼륨 밸런스 조정, 고음질 출력을 위한 사운드 프로세싱, 전문적인 마스터링 효과 적용.
- Song Radio: 현재 곡과 비슷한 스타일의 음악 추천, 장르, 분위기, 템포 등을 기반으로 유사한 곡 제안, 새로운 음악 아이디어 발견에 도움.
- Song Details (곡 세부정보): 생성된 음악의 제목, 설명 등 기본 정보 편집, 메타데이터 수정 가능.
- Crop Song (곡 자르기): 원하는 구간만 선택하여 편집, 불필요한 부분 제거 가능.
- Replace Section (섹션 교체): 특정 구간을 새로운 내용으로 교체, 원하지 않는 부분을 새로 생성하여 대체 가능.